건강

만약 아이에게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의심된다면 꼭 이 분을 찾아가세요

웰니스노트 2023. 3. 18.

오늘은 아스퍼거 장애에 이어 자폐스펙트럼장애(ASD:Autism Spectrum Disorder)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자폐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란, 정신 발달 장애의 하나로, 일반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 언어 및 의사소통, 반복적인 행동 패턴 및 강한 관심사 등에 영향을 미치는 집단적인 개발 장애입니다.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정신과 홈페이지 출처: 연세대세브란스어린이병원

 

자폐스펙트럼 장애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증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에는 언어 및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저하, 반복적인 행동 패턴, 강한 관심사 및 감각 과부하 등이 포함됩니다.

 

ASD는 일반적으로 초기 진단과 개입이 중요하며, 치료와 지원은 개인의 증상과 수준에 따라 다양할 수 있습니다.

 

아스퍼거 증후군도 자폐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의 일종입니다.

 

2023.03.17 - [건강] - 아스퍼거 장애 asperger disorder 총정리

 

아스퍼거 장애 asperger disorder 총정리

오늘은 아스퍼거 장애 asperger disorder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아스퍼거 장애는 Asperger's Syndrome이라고도 불리는 자폐증 스펙트럼 질환(ASD)의 일종으로, 소셜 인터랙션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동

wellnote.tistory.com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ASD)는 일반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 언어 및 의사소통, 반복적인 행동 패턴 및 강한 관심사 등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입니다.

 

일부 아동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언어 능력이 심하게 저하되어 있으며, 다른 아동은 매우 특정한 관심사를 가지고 있으며, 일부 아동은 강한 감각 과부하나 반복적인 행동 패턴을 보일 수 있습니다.

ASD는 일반적으로 초기 진단과 개입이 중요하며, 다양한 치료 및 지원이 가능합니다. 개입 방법은 개인의 증상과 수준에 따라 다르며, 보조적인 언어 및 커뮤니케이션 지원, 행동 치료, 인지 행동 치료 및 심리적 지원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ASD는 일생에 걸쳐 지속되는 조건이며, 그러나 개인에 따라 증상의 정도와 진행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예후는 개인에 따라 다릅니다.

 

자폐증 혹은 자폐스펙트럼, 스펙트럼 장애 등 다양하게 불리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일반적인 증상과 원인, 치료법 등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고, 만약 아이에게 자폐스펙트럼 증상이 의심된다면 어떤 병원을 찾아가서 진료를 보아야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정신과 천근아 교수님 출처: 연세대세브란스어린이병원


증상 설명
사회적 상호작용 어려움이 있으며,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이 떨어짐
언어 및 의사소통 언어 및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으며, 언어의 이해 및 사용 능력이 저하됨
반복적인 행동 패턴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되는 행동, 어떤 것에 대한 강한 관심, 일정한 순서나 패턴을 따르는 습관 등이 있음
감각 과부하 특정 감각에 과도하게 반응하거나 특정 감각에 둔감한 경우가 있음
지식과 관심사의 제한성 특정 관심사나 주제에 대해 매우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주제에 대한 이해도 낮을 수 있음
인지적 도전 추상적인 개념, 추론, 추론, 추상적인 사고 등 인지적인 도전이 있을 수 있음
무관심 또는 과도한 민감성 특정 상황이나 자극에 무관심할 수도 있고, 반대로 특정 자극에 과도하게 반응할 수도 있음

이러한 증상은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증상을 가진 아이들이 일상 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ASD를 가진 아이들은 진료 및 치료가 필요합니다.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ASD)는 감각통합 장애, 민감성, 반복성 행동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혹시 아이가 택시를 탈 수 있나요?

 

이러한 증상 중 일부는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할 때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ASD) 아동은 소음, 냄새, 충동적인 움직임 등에 민감해 대중교통에서의 이러한 자극들이 더 큰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중교통의 규칙, 절차, 시간표 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혼란스러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ASD) 아동이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것에 불안감을 느끼고 택시를 타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아동의 상황을 이해하고, 아동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는 등 맞춤형 지원이 필요합니다.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일반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Browsing by Yonsei Author : Cheon, Keun Ah 출처: 연세대세브란스어린이병원


유형 설명
유전적 요인 ASD 환자의 가족 구성원 중 ASD를 가진 사람이 있을 경우, 발병 위험성이 높아짐
생물학적 요인 뇌의 구조, 기능, 화학물질의 변화와 관련이 있음
환경적 요인 출생 전, 출생 중, 출생 후에 발생하는 요인으로, 어머니의 임신 중 감염, 조산, 낮은 출생 체중 등이 ASD 발병 위험성을 증가시킴
외부 환경 요인 독소, 비만, 스트레스 등이 ASD 발병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
복합적 요인 유전적, 생물학적, 환경적, 외부 환경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ASD를 유발할 수 있음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ASD)의 원인은 여러 가지인데, 정확한 원인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연구 결과, ASD는 유전적 요인, 생물학적 요인, 환경적 요인이 모두 작용하는 복합적인 개발 장애라는 것이 알려져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은 ASD 발병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ASD를 가진 가족 구성원이 있는 경우, ASD 발병 위험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유전적 요인이 개인적인 특징, 행동 및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생물학적 요인은 뇌의 발달과 관련된 문제와 연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뇌의 구조, 기능, 화학물질의 변화가 ASD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환경적 요인은 출생 전, 출생 중, 출생 후에 발생하는 요인들로, 예를 들어 어머니의 임신 중 감염, 조산, 낮은 출생 체중 등이 ASD 발병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어린 아이들의 외부 환경 요인(예: 독소, 비만, 스트레스 등)도 ASD 발병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ASD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를 이해하는 것이 ASD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일반적인 치료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천근아교수님 주요 업적 출처: 연세대세브란스어린이병원

 


유형 설명
행동분석치료 (ABA) ASD 아이들의 특성에 맞는 학습 계획을 만들어 전문가가 일대일로 가르치는 방식
인지행동치료 (CBT) 인지 기술을 사용하여 감정, 행동 및 사고 패턴에 대한 인식 및 변화를 촉진하는 방식
언어 및 소통치료 언어 및 소통 기술 향상에 중점을 둔 치료법
치료적 교육 프로그램 ASD 아이들이 필요로 하는 교육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의약품 치료 주의력, 과잉행동, 불안 등의 증상에 대한 치료를 위해 사용됨
대체요법 예술치료, 마사지, 요가, 음악치료 등의 대체요법으로 ASD 아이들의 치료를 지원하는 방식
심리사회적 개입 프로그램 아이의 심리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부모나 가족도 참여하여 진행됨

위와 같은 치료법들은 ASD 아이들의 특성과 수준에 따라 적절한 조합이나 개별화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초기 진단과 조기 치료가 중요하며, 가족의 참여와 지속적인 지원도 ASD 아이들의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

 

만약 아이에게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의심된다면 꼭 이 분을 찾아가길 바랍니다.


사실 오늘 포스팅을 쓰게 된 계기는 바로 우리 아이가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가진 것은 아닐까? 하는 부모님들을 위해서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인데요.

 

 

단도직입적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만약 우리 아이가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아닐까? 의심된다면 지체 말고
연세대 세브란스 병원의 천근아교수님 진료부터 예약하시기 바랍니다.

 

워낙에  연세대 세브란스 어린이병원의 천근아교수님은 워낙의 권위자이기에 예약하면 최소 1년 이상을 기다려야 합니다. 하지만 다른 곳 가지말고 이곳에 가시기 바랍니다. 구체적으로 그 이유를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 그냥 고민하지 마시고, 괜히 다른 병원(서울대병원이나 삼성병원, 아산병원 등)가지 마시고 연세대 세브란스 어린이병원의 천근아교수님을 최대한 빠른 시간내에 찾아가서 만나시기 바랍니다.


천근아교수님 프로필 출처: 연세대세브란스어린이병원


천근아교수님 프로필

진료분야
자폐스펙트럼장애 및 발달장애, ADHD 및 학습장애, 틱, 소아청소년 기분장애(우울증 및 조울증)
△ 목요일 오후: 발달클리닉 (*24년 2월까지 진료)

학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1994)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학석사 (1999)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학박사 (2003)

경력
1994-1995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인턴
1995-1999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정신과 전공의
1999-2000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소아정신과 강사
2000-2001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소아정신과 전임의
2001-2003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소아정신과 연구강사
2003-2009 관동의대 명지병원 정신과학교실 조교수 및 부교수
2009-2010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의과대학 필라델피아 아동병원 발달뇌영상 연구소 방문교수
2009-2010 뉴욕대학교 의과대학 Child Study Center, Institute for Pediatric Neuroscience 연수
2010-2016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정신과학교실 부교수
2017-現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정신과학교실 교수
2020-現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과장

학술활동
[학회활동 및 소속학회]한국자폐학회 이사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총무이사 및 국제이사 역임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회원대한정신약물학회 비상임이사,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학술위원회 간사 역임대한우울조울병학회 비상임 이사Member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Neuroimaging in Psychiatry (ISNIP)Member of Collegium Internationale Neuropsychopharmacologicum (CINP)Member of ADHD international Molecular Genetic NetworkPsychiatry Investigation, Advisory Board MemberCorresponding Member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AACAP)[Professional Journal Reviewer Activity]Ad Hoc Reviewer, NeuroImageAd Hoc Reviewe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Ad Hoc Reviewer,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Reviewer, Yonsei Medical JournalReviewer, Korean Journal of Medical Science
[수상경력]2003.2 강사 학술상 (연세의대 강남세브란스병원)2005.3 최우수 논문상 (대한정신약물학회)2005.10 GSK 젊은 의학자상 (대한신경정신의학회)2006.9 Donald J. Cohen Fellow Award (세계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2008.2 교수 학술상 (관동대학교 명지병원)2008.1 세계 100대 의학자 (IBC: 국제인명센터,영국)2010.4 중앙정신의학 논문상 (대한신경정신의학회)2012.5 최우수 논문상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2013.11 소천 학술상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2017.11 노경선 저작상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진료철학
아동과 청소년 문제 뿐 아니라 그들의 부모와 가족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통합적 치료,환자를 내 가족과 같은 마음으로 대하는 공감과 이해를 바탕으로 한 열정적 치료,최신 연구와 과학적 근거에 입각한 합리적 치료를 지향합니다.

그러면 진료도 고민도 치료도 훨씬 빠르게 될 것입니다.

 

연세대학교세브란스 어린이병원에서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ASD) 진료를 담당하시는 천근아 교수님은 국내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 치료 분야에서 귀중한 업적을 가지고 있는 최고의 전문가입니다.

천근아 교수님은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ASD) 진단 및 치료 분야에서 오랜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최신 연구 결과와 임상 경험을 토대로 환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고, 연구활동을 통해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 치료의 핵심 요소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천근아교수님 언론보도 출처: 연세대세브란스어린이병원


그런데 실제로 천근아 교수님의 진료를 받은 제 지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그동안 괜히 다른 병원(서울대병원이나 삼성병원, 아산병원 등)에서 시간낭비, 돈낭비 하지 말 걸 그랬다는 후회를 많이 했습니다.

 

가장 먼저 최대한 빨리 연세대학교세브란스 어린이병원의 천근아 교수님을 만났다면 수많은 고민과 번민의 시간들을 피할 수 있었을텐데라고 말했습니다.

 

다른 것을 다 떠나서 시간이 가장 아깝다고 말했습니다. 천근아 교수님을 진작에 만났다면 시간을 아낄 수 있었다고 말합니다. 그만큼 천근아 교수님은 실력도 뛰어나지만, 자폐스페트럼장애가 아닐까? 고민하는 부모들에게 엄청난 신뢰를 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ASD) 진료를 필요로 하신다면 천근아 교수님과 함께하는 연세대학교세브란스 어린이 병원의 진료를 추천드립니다.

 

고민하지 마시고 예약부터 하시기 바랍니다. 지금 예약해도 최소 1년입니다. 고민은 시간만 늦출 뿐입니다. 다른 곳 가지 마시고 우선 천근아 교수님 찾아가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

💲 추천 글